말레이시아의 타다우 카마탄(Tadau Kaamatan) 축제는 동말레이시아에서 펼쳐지는 추수 감사제입니다. 카마탄 축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말레이시아와 서말레이시아의 문화 차이를 알아보고, 축제의 정의 및 어원, 관련된 전설, 주요 행사를 살펴보겠습니다.
2. 동말레이시아 vs 서말레이시아의 문화 차이
1) 문화와 풍습이 다른 이유
타다우 카마탄 축제에 대해 알려면, 먼저 동말레이시아와 서말레이시아의 문화와 풍습이 다른 이유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서 말레이반도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있는 곳입니다. 동말레이시아의 사라왁주와 사바주는 원래는 서말레이시아와는 독립된 영토였습니다. 그러다가 사라왁주는 1963년 7월 22일, 사바주는 1963년 8월 31일 말레이시아 연방(Federation of Malaysia)에 합류해 지금의 말레이시아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시간으로만 놓고 본다면 동말레이시아가 말레이시아 연방에 들어온지는 60년이 채 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서말레이시아와 동 말레이시아는 문화나 풍습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이슬람 신자가 많은 서말레이시아와 달리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 원주민의 생활상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2) 지리적 특성
지도에서 말레이시아를 찾아보면 서쪽의 말레이반도와 동쪽의 보르네오섬 2부분으로 나눠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 말레이반도 경우 이슬람 색채가 강한 반면, 동말레이시아는 보르네오 원주민들의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곳입니다. 특히 카마탄 축제에는 사바(Sabah)와 사라왁(Sarawak)주(州)에 살고 있는 보르네오 원주민들의 생활상이 잘 드러나 있는 흥미로운 축제입니다.
3. 카마탄 축제란?
카마탄 축제는 코타키나발루가 주도인 사바 지역에서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에 개최하는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추수 감사 축제이다. 카마탄 축제는 다른 말로 페스타 무느아이(Pesta Menuai) 라고도 부르며, 매년 5월 말에 열리는 추수감사절입니다. 이는 한국의 추석(秋夕, Chuseok), 미국의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에 해당하는 축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가와이 다약과 다른 점
동말레이시아의 사바주와 사라왁주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은 한 해 동안 힘들게 키운 곡식의 풍년을 기원하고, 수확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추수 감사제를 지냅니다. 이때 사라왁주의 원주민인 카다잔 두순(Kadazan Dusun)족은 카마탄 축제를 열고, 사라왁주의 이반(Iban)족(또는 다약족이라고 부름)과 비다유(Bidayuh)족은 가와이 다약(Gawai Dayak) 축제를 엽니다.
2) 한국의 추석과 다른 점
카마탄 축제는 한국의 추석과 유사하지만, 다른 점도 있습니다. 한국의 추석은 3일의 공휴일로 명절을 지내지만, 카마탄 축제는 한 달 내내 개최되며 다양한 민속 공연, 민속놀이, 전통 경기가 펼쳐집니다. 그리고 한국으로 따지면 미스코리아나 지역 축제의 미인대회처럼 추수 감사제 여왕 선발 등을 진행하는 대대적인 축제입니다.
4. 카마탄의 어원
'카마탄(Kaamatan)'이란 말은 카다잔 두순족 언어로 '수확'을 뜻하는 말입니다. 즉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카마탄 축제는 수확의 기쁨과 신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는 추수 감사제입니다. 이 카다잔 두순족은 사바의 최대 원주민 집단입니다. 그 규모를 살펴보면, 2010년 기준 사바 인구 320만 명 중 약 17.8%가 카다잔 두순족인 것으로 집계된 통계가 있습니다. 사바주는 계속해서 카다잔 두순족의 문화와 언어가 지켜질 수 있도록 카다잔 두순어를 의무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바주 21개 초등학교와 2개 중등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5. 카마탄의 전설
카마탄 축제의 유래는 사바주의 전설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바를 다스리던 벼의 키노인간(Kinoingan)이란 신에게는 후미노둔(Huminodun)이라는 아름다운 딸이 하나 있었는데, 오랜 흉작으로 백성들이 굶어 죽자, 사바의 신은 그의 딸을 희생시켜 살점을 땅에 뿌렸습니다. 땅에 그녀의 영혼이 닿자, 벼가 자라나면서 백성들을 굶주림에서 구할 수 있게 되었고, 카다잔 두순족은 지금까지도 쌀에는 후미노둔의 영혼이 깃들여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 전설은 시간이 지나면서 벼의 정령에게 그해의 풍년에 대해 감사드리는 의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카다잔 두순족은 매년 풍년을 축하하고, 미인 대회를 개최하여 겉으로 드러난 외모뿐만 아니라 내면의 용감함, 기품 그리고 지적인 아름다움까지 겸비한 미인을 선발합니다.
6. 카마탄 페스티벌의 주요 행사
1) 마가야우 의식
카마탄 축제는 마가야우(Magayau) 의식을 치르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 의식은 주술사들이 보보히잔(Bobohizen)이라는 전통 의상을 차려입고 주술을 외우면서 한 줄로 걸어가는 의식입니다. 이는 카마탄 축제에 대한 카다잔 두순족들의 애정과 열의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의식이기도 합니다.
2) 타이파이
카마탄 축제는 한 해의 농사와 추수한 곡식에 대해 신에게 감사드리는 행사이니만큼 축제의 모든 음식은 쌀로 만들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중에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바로 그 해 수확한 쌀로 만든 '타이파이(Taipai)'라는 술입니다. 카마탄에 타이파이는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자 가장 귀중한 음식으로 카두잔 두순족들은 이 타이파이를 이웃과 손님들에게 대접하며 축제를 이어갑니다. 타이파이 외에도 라임에 절인 생선인 '히나바(hinava)', 망고절임인 '밤반간(bambangan)' 등 다채롭고 풍성한 음식을 함께 즐깁니다.
3) 미인 대회
카마탄의 미인대회(Unduk Ngadau)는 이 '태양의 왕관을 받은 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매년 사바주에서는 후미노둔 신의 아름다움과 용감함, 양보와 미덕의 정신을 기리며 미인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4) 카다잔 두순족 전통춤
카마탄 축제에는 카다잔 두순족의 전통춤인 수마자우(Sumazau) 공연과 마구나팁(Magunatip)춤도 빠질 수 없습니다. 수마자우는 밭에서 일하는 농부들이 하늘을 나는 독수리를 보면서 만든 춤이며, 마구나팁은 대나무를 엇갈아가며 추는 춤입니다. 카마탄 축제에서는 평소에는 접하기 힘든 이런 아름다운 전통춤을 감상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마무리: 카마탄 축제의 의의
카마탄은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를 넘어 나눔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입니다. 한 해 농사를 수확하면서 신과 조상들에게 감사를 전하고, 또 힘들게 농사를 함께 지은 모든 이웃이 모이고, 멀리 떨어져 지내던 가족과 친지들을 만나 마을 잔치를 벌이는 날입니다. 이러한 행사는 가족과 지역사회의 결속을 다지고 농부들의 노고에 대해 감사함을 되새기는 시간으로서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