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편의점·다이소·배달앱은 가능?

by Vs'Xo 2025. 7. 8.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어디서 쓸 수 있는지 헷갈리셨죠? 이 글에서는 편의점, 다이소, 배달앱 같은 평소 자주 찾는 매장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어디서 쓸 수 있고, 어디서 안 되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카드형) 셋 중 한 가지로 신청해서 사용할 수 있어요. 단, 온라인 결제는 안 되고, 반드시 오프라인 매장에서, 그리고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곳에서만 쓸 수 있어요.

 

사용 가능한 업종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다음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통시장
  • 동네마트, 소형 슈퍼
  • 일반 음식점
  • 프랜차이즈 가맹점 (본사 직영은 제외 ❌)
  • 편의점: CU, GS25, 이마트24 등 가맹점만 가능
  • 미용실, 안경점, 의류점
  • 병원, 약국
  • 학원, 교습소
  • 동네 카페, 문구점, 서점 등 소상공인 매장
  • 마트가 없는 면 지역의 농협 하나로마트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참고:
같은 프랜차이즈 매장이라도 본사 직영점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올리브영, 다이소 경우 직영점은 안되고,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불가 업종

다음의 업종 및 매장에서는 소비쿠폰을 쓸 수 없습니다.

  • 대형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에브리데이, 롯데슈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GS더프레시 등)
  • 백화점, 면세점
  • 온라인 쇼핑몰: 쿠팡, G마켓 등
  • 배달앱 내 결제: 앱에서 카드 결제로는 사용 불가
  • 유흥·사행 업종: 복권방, 카지노, 오락실 등
  • 환금성 업종: 상품권, 귀금속 등
  • 외국계 브랜드 직영점: 스타벅스, 애플스토어 등
  • 프랜차이즈 본사 직영점
  • 창고형 마트: 코스트코,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 세금, 공공요금, 보험료 납부
💡 배달앱도 가능할까?
원칙적으로 앱에서 결제하면 사용할 수 없지만,
배달원이 방문하여 가맹점 단말기로 결제하는 경우엔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주 가는 매장별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여부

매장명 사용 가능 여부 비고
다이소 △ 일부 가능 전체 매장 중 약 30%에서 사용 가능
올리브영 △ 일부 가능 직영점 약 82%, 나머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편의점 ◎ 대부분 가능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가맹점만 가능
메가커피 △ 일부 가능 가맹점 중심 운영
이디야커피 ◎ 대부분 가능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부분 사용 가능
스타벅스 ❌ 불가 100% 본사 직영 운영
투썸플레이스 △ 일부 가능 가맹점은 가능, 직영점은 불가
배달앱 (배민, 쿠팡이츠 등) ❌ 앱 결제 불가
⭕ 방문 결제만 가능
'만나서 결제' 시 가맹점 단말기로 결제하면 사용 가능

 

💡 스티커 확인 Tip!
매장 입구나 계산대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사용 가능 매장)'이라는 스티커가 붙어 있어야 확실해요.

 

지역 제한은 어떻게 되나요?

소비쿠폰은 주소지 기준으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 특별시/광역시 거주자: 해당 시 전역에서 사용 가능
  • 도 거주자: 주소지 기준 시·군 내에서만 사용 가능 (예: 강원도 원주 시민 → 원주에서만 사용 가능)

타 지역에서는 절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용 기한과 결제 방식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 결제 수단: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모바일형 / 카드형)
이 날짜 안에 1차, 2차분 모두 사용해야 하고,
사용하지 않고 남은 금액은 정부와 지자체로 환수되니, 꼭 사용하세요!

 

사용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점

  • 주소지 외 지역에서는 무조건 사용 불가
  • 배달앱 안에서 결제는 안 되지만, 현장 단말기 결제는 가능
  • 정부·카드사 사칭 스미싱 문자 주의
  • 결제 수단에 따라 가능한 매장이 다를 수 있으니, 확인은 필수입니다.

 

사용처 확인 방법, 이렇게 하세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전에 어디서 쓸 수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한번 잘못 결제하면 환불도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방법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고 쓰세요.

 

① 매장 입구의 스티커 확인

  • 매장에 들어가기 전, 입구나 계산대 주변을 잘 살펴보세요.
  • 정부와 지자체에서 부착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 스티커가 있는 경우,
  • 그 매장에서는 쿠폰 사용이 가능합니다.

 

소비쿠폰 스티커
(매장의 스티커를 확인하세요!)

 

②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장 정확한 방법이에요.

  • 내가 사는 시·군·구청 홈페이지(지자체 누리집)에 접속
  • 보통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안내" 메뉴를 찾으면,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목록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 "서울시 ○○구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안내" → 소비쿠폰 사용처 포함

👉 이곳에서 쉽게 내 지역 소비쿠폰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전국 시·군구청 지자체 누리집 바로가기]

 

③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로 받기

  • 쿠폰 신청할 때 국민비서 알림서비스(구삐)를 같이 신청하셨다면,
  • 카카오톡 알림톡, 네이버 알림, 문자 등로 내 지역 사용처와 기한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어요.
  • 카카오톡 알림톡, 네이버 앱 알림 등 가장 간편하게 알림으로 받는 방법입니다.

👉 행안부는 현재 1,700만명 이상이 가입했고, 7월 14일부터 소비쿠폰 맞춤 알림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하니, 미리 알림 신청해 두시면 가장 편합니다.

[국민비서 알림서비스 신청하기]

 

 

④ 매장에서 직접 물어보기

  • 매장에 스티커가 없으면, 직원에게 직접 물어보세요.
  • "여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쓸 수 있나요?" 하고 물어보면 돼요.
  • 혹은 결제 전에 카드 단말기로 실제 결제가 가능한지 먼저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⑤ 카드사 / 지역화폐 고객센터 확인

  • 결제가 안 되거나 시스템 오류일 때,
  • 선불카드나 지역사랑상품권을 이용 중이라면,
  • 카드사나 해당 지역화폐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해당 매장이 가맹점인지 정확하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알고 보면 복잡하지 않습니다. 내 주소지 기준 + 가맹점 + 오프라인 결제 이 세 가지만 기억하세요. 자주 가는 매장에서 쿠폰이 되는지 미리 체크하고, 11월 30일까지 꼭 쓰세요. 안 쓰면 자동 소멸돼버려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어디? 쉽게 확인하는 방법!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어디인지, 내가 사는 지역도 해당되는지 쉽고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소멸지역은 89곳이지만, 이 중 84곳만 2025 민생회복 지원

v.xocowriter.com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대상 | 누가 언제 얼마 받나?

2025년 7월 21일부터 정부는 전국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 하지만 그냥 들어오는 건 아닙니다. 신청하고, 수령 방식도 직접 선택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누가 받을

v.xocowrit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