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액패스 vs K패스 혜택 비교, 뭐가 더 이득일까?

by Vs'Xo 2025. 9. 25.

정액패스 K패스 혜택 비교

 

2026년 도입 예정인 정액패스와 현재 운영 중인 K패스를 쉽게 비교했습니다. 요금부터 환급률, 대상, 적용 범위를 한눈에 정리해 어떤 패스가 본인에게 유리한지 확인해 보세요.

 

정액패스,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정액패스는 한 달 교통비를 미리 정해진 금액으로 내고, 그 금액 안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자유롭게 타는 제도예요. 쉽게 말해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국토교통부 정액패스 소개
(출처: 국토교통부)

 

PC방 정액제에 비유하면 더 쉬워요.

  • PC방 정액제: 5,000원을 내고 1시간 이용하는 것보다, 10,000원을 내고 3시간을 이용하면 훨씬 이득이죠.
  • 정액패스: 62,000원을 내면 한 달 동안 최대 20만원까지 전국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실제 교통비가 10만 원이라면, 38,000원을 아낄 수 있는 셈이죠.
특히, 청년, 고령층, 다자녀, 저소득층이라면 기본요금 월 55,000원으로, 매달 7천원씩 더 할인받을 수 있어요.

 

[정액패스 자세히보기]

 

✅ 누가 유리할까?

  • 매일 출퇴근하면서 장거리 통근하는 직장인
  • 주말에도 약속이 많아 버스나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

⚠️ 주의할 점

  • 교통비가 적게 나오는 달(휴가, 재택 등)엔 손해일 수 있음
  • 월 20만원 한도 초과분은 별도 부담해야 함

 

K패스, 쓴 만큼 돌려받는 환급제

K패스는 이용한 만큼 환급받는 방식이에요. 정액패스처럼 미리 큰돈을 내지 않아도 되고, 실제 사용액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

환급률:

  • 일반: 20%
  • 청년(만 19~34세): 30%
  • 저소득층: 최대 53%

조건:

  • 15회 이상 이용해야 적용
  • 최대 60회까지 환급 가능

[K패스 공식 홈페이지]

 

✅ 누가 유리할까?

  • 교통 이용 빈도가 일정치 않은 대학생, 청년
  • 월 교통비가 6만 원 이하인 경우

⚠️ 주의할 점

  • 15회 미만 이용 시 혜택 없음
  • 60회 이상 사용해도 추가 환급은 안 됨

 

정액패스 vs K패스, 이렇게 선택하세요

핵심은 내가 교통비로 매달 얼마를 쓰느냐예요. 아래는 일반 요금을 기준으로 두 가지 상황(월 8만원, 월 5만원)을 예로 들어 계산한 결과예요.

📌 월 교통비 8만원 사용

  • K패스 환급액: 16,000원 환급(20%) → 실제 지출: 64,000원
  • 정액패스: 62,000원 고정 → 18,000원 이득
  • 이 경우 '정액패스'가 약간 더 유리합니다.

📌 월 교통비 5만원 사용

  • K패스 환급액: 10,000원 환급(20%) → 실제 지출: 40,000원
  • 정액패스 비용: 62,000원 고정 → 12,000원 손해
  • 이 경우 'K패스'가 확실히 유리합니다.
즉, 한 달 교통비가 약 7만 8천원 이상이면 정액패스, 그 이하라면 K패스가 더 유리합니다.

 

 

기후동행카드와 비교하면?

헷갈리기 쉬운 서울시 전용 기후동행카드도 잠깐 짚고 넘어갈게요.

  • 정액패스(2026 예정): 일반 월 62,000원(우대 55,000원), 최대 20만원 한도, 전국 버스 및 지하철 적용 예정
  • K패스: 환급형, 전국 적용, 월 15~60회 조건
  • 기후동행카드(서울): 일반 62,000원(우대 55,000원), 서울 시내 대중교통 무제한 + 따릉이/한강버스 추가 혜택 가능

즉, 서울만 생활하는 분은 기후동행카드, 전국 단위로 이동이 많다면 정액패스나 K패스가 적합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법 안내]

 

마을버스도 적용될까?

  • K패스: 전국 마을버스,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까지 포함됩니다.
  • 정액패스: 도입 시점(2026년) 세부안이 확정되겠지만, 전국 버스·지하철 대상으로 마을버스 포함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면허 마을버스만 적용(경기도·인천 마을버스는 불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 K패스는 없어지나요?

아니요. 유지됩니다. 2026년 이후엔 정액패스가 추가돼,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Q. GTX·광역버스도 되나요?

K패스는 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정액패스는 GTX·광역 포함 옵션(일반 10만 원, 우대 9만 원)이 따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Q. 어떤 걸 고르면 되나요?

출퇴근이 잦고 월 교통비가 많다 → 정액패스

교통비가 적고 이용이 들쭉날쭉하다 → K패스

 

마무리

2026년부터는 정액패스와 K패스, 두 가지 선택지가 공존합니다.

  • 많이 타는 사람 = 정액패스
  • 적게 타는 사람 = K패스

본인 교통 패턴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고 선택하세요. 앞으로 구체적인 요금과 적용 범위가 확정되면, 다시 업데이트해 드리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미래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교, 기다릴까 막차 탈까?

청년미래적금 청년도약계좌,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하고 조건·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있어, 지금 막차를 탈지 아니면 새 제도를 기다릴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v.xocowriter.com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2차 합쳐서 사용 가능한가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차 잔액과 2차 지급분을 합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같은 카드사라면 합산 결제가 가능하고, 다른 카드사라면 순차 차감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합산 조건, 카

v.xocowriter.com

 

 

카톡 광고 차단하는법 | 광고메시지 알림톡 차단 방법

카톡 광고 차단하는법은 예전과 달라졌습니다. 2025년 현재는 채널 친구가 아니더라도, 회원가입 시 마케팅 수신 동의를 했다면 카카오톡으로 광고메시지가 도착할 수 있습니다. 즉, 이제는 단순

v.xocowrit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