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실제로는 별도 계산기가 없어도 간단한 공식과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2025년 기준)를 통해 내가 매달 납부할 보험료와 미래에 받을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산정 원리, 2025년 적용 최소·최고 납부 금액, 그리고 예상연금월액표 활용법까지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공식
국민연금은 소득에 비례해 보험료를 납부하고, 납부한 금액에 따라 연금액도 달라집니다.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보험료 = 소득월액 × 9%
- 예를 들어 소득월액이 200만원이라면,
- 2,000,000원 × 9% = 180,000원
- 즉, 매달 18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다만 직장가입자는 회사가 절반(9% 중 4.5%)을 부담하기 때문에 본인은 9만원만 내지만,
지역가입자는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하므로 매달 18만 원을 모두 내야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기준소득월액과 최소 최고 금액 (2025년 기준)
국민연금은 매년 7월,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 변동률을 반영해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을 고시합니다. 이 기준으로 납부 금액이 제한됩니다.
📌 2025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소 보험료 (하한액 적용)
-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400,000원
- 보험료율: 9%
- 최소 납부 보험료: 월 36,000원
소득이 40만 원보다 적더라도, 최소 보험료는 월 36,000원이 부과됩니다.
최고 보험료 (상한액 적용)
-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6,370,000원
- 보험료율: 9%
- 최대 납부 보험료: 월 573,300원
소득이 637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최고 보험료는 월 573,300원을 넘지 않습니다.
국민연금 상한·하한액
구분 | 최소금액(하한) | 최고금액(상한) |
기준소득월액 | 400,000원 | 6,370,000원 |
보험료율 | 9% | 9% |
월 납입 보험료 | 36,000원 | 573,300원 |
따라서 지역가입자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2025년 현재 월 36,000원~573,300원 사이에서 보험료가 결정됩니다.
👉 기준소득월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 뜻·계산·상한액·조회 방법]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 뜻·계산·상한액·조회 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을 계산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값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입니다. 이 값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산정하고, 나중에 내가 받게 될 연금액을 결정하는 기준선이에요.
v.xocowriter.com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 (2025년 기준)
내가 매달 내야 할 보험료는 위 공식으로 확인할 수 있고, 나중에 받을 예상 연금액은 국민연금공단이 제공하는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 (2025년 기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표에서는 최저부터 기준소득월액 구간에 따른 연금보험료, 노령연금 수령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정리돼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내가 현재 소득으로 얼마를 내면, 나중에 월 얼마를 받을 수 있을지"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기준소득월액이 200만원인 지역가입자가 20년간 납부했다면, 매달 보험료는 18만원이고,
- 이 경우 노령연금 예상월액표에서 확인하면, 가입기간에 따라 대략 월 26만원 ~ 100만원 정도 수령하게 됩니다. (표 이미지 참고)
이 표는 아래 첨부한 2025년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 엑셀파일로 보시면, 소득 구간별/가입기간별로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결과와 예상 수령액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지역가입자가 알아두면 좋은 제도
- 소득이 없는 개인의 납부예외 신청: 소득이 없거나 경제적 사정이 어려울 경우, 일정 요건에 따라 납부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 개인 납부예외자의 납부재개 등 신고(신청): 납부예외 중 보험료 납부 희망할 경우 신청합니다.
- 농어업인에 대한 연금보험료 국고보조: 농어업인 등 일부 지역가입자는 정부로부터 보험료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소득이 변동되면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해야 하며, 미신고 시 추후 소급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리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은 소득월액의 9%를 본인이 전액 부담하며, 2025년 기준 최소 36,000원에서 최대 573,300원 사이에서 납부하게 됩니다.
내가 나중에 받게 될 연금액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2025년 기준)에서 가입기간과 소득 수준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부예외 신청이나 농어업인 지원 제도를 활용하면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계산기로 헤매지 말고,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에서 확인해 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의무인가요? 납부예외 조건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의무와 납부예외 조건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회사에 다니지 않으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가 되고, 소득이 있으면 전액 부담하지만 소득이 없으면 납부예외 신청으로
v.xocowriter.com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기 | 보험료 최저 금액
건강보험료 얼마 나올지 걱정되시나요? 이 글에서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기를 활용해 2025년 기준 최저 금액(하한액), 보험료 산정 기준,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여부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v.xocowriter.com
주식 양도세 대주주 요건|10억·50억 기준, 세율 총정리
주식 양도세 대주주 요건은 보유 주식의 지분율 또는 금액이 일정 기준을 넘을 때 적용됩니다. 2025년 현재, '50억 원 기준'을 유지할지 '10억 원 기준'으로 낮출지를 두고 세법 개정 논의가 뜨겁습
v.xocowriter.com